OSI 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은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개발한 모델로,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. 일반적으로 OSI 7 계층이라고 한다.
Layer 7 응용 (Application)
사용자가 UI로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계층이다. 전자우편 서비스, 디렉토리 서비스, 파일 전송, 접근, 관리,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
Layer 6 표현 (Presentation)
두 시스템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구문과 의미와 관련있다. 기능으로는 변환, 암호화, 압축
Layer 5 세션 (Session)
네트워크 대화 제어기로서 통신 시스템간 상호 대화 설정, 유지, 동기화를 책임한다. 대화 제어: 반이중, 전이중 통신을 허용한다.
Layer 4 전송 (Transport)
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이다. 신뢰성 있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 포트주소, 분할과 재조립, 연결 제어, 흐름 제어, 오류 제어
Layer 3 네트워크 (Network)
패킷(packet)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지에서 목적지까지 전달을 책임한다. 논리 주소 지정, 경로 지정
Layer 2 데이터 링크(Data Link)
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. "MAC address"를 활용하여 같은 구간 내의 Endpoint 혹은 Switching 장비에 전달하고, 1 Layer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에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낸다.
Layer 1 물리 (Physical)
비트 스트림 : 회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비트열로 데이터 스트림의 단위
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이다.
캡슐화(encapsulation)
먼저 송신측에서 컴퓨터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진다.
데이터는 응용 계층에서 전송계층으로 전달되는데, 전송계층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응용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다.
즉,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해 나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.
참고자료
https://aws-hyoh.tistory.com/50
OSI 7 Layer 쉽게 이해하기
저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습니다. 그리고 3학년 1학기에 전공필수과목인 '컴퓨터 네트워크'를 수강했지요. 지금은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'LAN', 'WAN', 'X.25', 'OSI 7 Layer' 등을 배웠던 것으로 기억합
aws-hyoh.tistory.com